박병대비뇨기과 로고

  • 로그인
  • 커뮤니티

성기능장애란 무엇입니까?
이름 : 박병대비뇨기과

아래글은 대한남성과학회에서 발췌한 글임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성기능을 포함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성기능 장애는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노령인구의 증가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성기능 장애 환자의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메사츄세츠 남성노화 연구(Massachusetts Male Aging Study)에서는 40~70세 남성에서 경증 이상의 발기부전을 호소하는 총괄적 유병률은 52%였다고 보고하였으며, Aytac 등은 전세계적으로 발기부전 환자는 1995년에 1억5천2백만 명 이었던 것이 2025년에는 3억2천2백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남성의 성기능 장애는 성욕장애, 발기장애, 사정장애, 오르가즘장애 및 감각장애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발기부전은 육체적 만족감과 전반적 행복감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성문제이며, 대부분의 남성들이 치료를 원하고 있는 질환이다.

발기부전의 정의
과거 오랫동안 여러가지 성기능장애를 포괄적으로 뜻하는 비특이적 용어인 '임포텐스'로 표현되었으나 현재는 발기부전이란 용어로 대체되었다. 발기부전은 성행위를 위한 충분한 음경 발기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발기가 되더라도 유지가 어려운 상태를 말하며, 이러한 증상이 지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뜻한다.

발기부전의 분류
발기부전은 스트레스, 불안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혈관질환, 신경계의 손상 및 내분비계의 이상과 같은 기질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많은 환자에서 기질성과 심인성 요인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표 1).


표 1. Classification of etiologic factors in erectile dysfunction

1. 심인성 발기부전 (Psychogenic Erectile Dysfunction)

심인성 발기부전이란 주로 심리적 또는 대인관계 요소로 인해 만족스러운 성적 행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발기가 충분치 않거나 유지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심인성 발기부전은 성욕장애와 같은 다른 성기능 장애와 병발되는 경우가 많고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와 같은 주요 정신질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심인성 발기부전의 심인성 예측인자로는 감정적인 스트레스, 저소득층, 강압적인 성행위, 우울증, 불행감 및 비관적인 생활태도 등이 있다. 특히 우울증은 성욕감소와 연관이 있으며, 나이나 결혼상태, 동반질환 등과 관계없이 발기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우울증에 의한 발기부전 환자는 다른 발기부전 환자보다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2. 기질성 발기부전 (Organic Erectile Dysfunction)
1) 혈관인성 발기부전 (Vasculogenic Erectile Dysfunction)
음경은 어떤 의미에서 하나의 거대한 혈관의 변형으로, 이 음경내의 혈류역동학의 변화에 의해 발기의 정도가 결정된다. 혈관인성 발기부전은 이 혈류역동학적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여 생기는 발기부전으로, 여기에는 해면체동맥 내 혈액 유입량의 변화와 정맥 폐쇄부전이 포함된다. 즉, 음경으로 혈액 유입량이 감소하거나 음경으로부터 혈액 유출량이 과다하거나 혹은 이 두 가지가 공존되어, 발기가 단단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발기를 유지할 수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 혈관인성 발기부전은 동맥성 발기부전 (Arteriogenic ED)와 정맥성 발기부전 (Venogenic ED)으로 나눌 수 있다. 동맥성 발기부전은 관상동맥경화증, 골반강내 수술 및 음경동맥 손상 등에 의해 음경동맥으로 흐르는 혈류의 장애가 유발되어 생기며, 발기시간이 길어지거나 발기 시 강직도가 감소된다. 정맥성 발기부전은 정맥폐쇄기전의 장애로 정맥을 통한 혈류의 유출이 동맥을 통한 혈류의 유입보다 많을 때 발생한다. 발생원인으로는 페이로니병, 선천적 음경정맥 이상, 음경해면체 평활근 내피세포의 구조적 결함 및 평활근의 부적절한 이완 등이 있다.

2) 신경인성 발기부전 (Neurogenic Erectile Dysfunction)
발기는 신경혈관계의 조절에 의존하므로 뇌, 척수, 외음부신경 및 해면체신경에 영향을 주는 어떠한 손상이나 질환은 발기부전을 일으킨다. 따라서 신경인성 발기부전은 중추 또는 말초 신경계의 이상에 의한 발기부전을 말한다. 말초성 발기부전은 반사성 발기에 관여하는 감각신경이나 동맥 확장과 평활근 이완에 관여하는 자율신경의 이상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이 같은 원인에는 당뇨병이나 알코올중독 등이 포함된다. 중추성 발기부전으로 가장 흔한 경우는 척수 손상인데 이때 손상의 위치에 따라 발기부전의 정도가 다르다. 중추성 원인은 이 밖에도 종양, 중풍, 파킨슨병 등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3) 내분비성 발기부전 (Endocrine Erectile Dysfunction)
내분비 질환에 의한 발기부전은 흔하지 않지만, 발기부전에 흔히 관련되는 내분비 질환으로는 성선기능저하증 (hypogonadism), 고프로락틴혈증 (hyperprolacinemia) 및 갑상선 질환 등이 있다. 고환의 내분비 기능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고환의 상호작용과 관련되어 있으며, 성행동과 성욕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테스토스테론이 감소된 경우 대부분은 성욕이나 발기력에 영향을 받는다. 고프로락틴혈증의 경우 프로락틴이 중추에서 도파민의 활성과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GnRH)을 억제하기 때문에 임신능력과 성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갑상선기능항진증과 갑상선기능저하증은 모두 성욕을 감퇴시키고 발기부전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4) 의인성 발기부전 (Iatrogenic Erectile Dysfunction)
약물복용, 외과적 수술 및 방사선치료 등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행위가 발기에 관계하는 여러 요소들을 저해하여 발기부전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를 의인성 발기부전이라 한다. 항고혈압제, 항우울제, 항히스타민제, 항남성호르몬 등과 같은 약물들은 발기부전과 관련이 있다. 이중에서도 베타차단제와 구아니딘 유도체와 같은 항고혈압제는 자체만으로도 발기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고혈압에 의한 발기부전의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삼환계 항우울제, MAO억제제, 리튬,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을 포함한 항우울제는 발기부전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립선 전적출술이나 방광전적출술과 같은 골반강내 수술, 페이로니병이나 지속발기증 치료를 위한 음경수술, 기타 방사선치료, 혈액투석, 대동맥재건술 등이 발기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참고문헌
Feldman HA, Goldstein I, Hatzichristou DG, Krane RJ, McKinlay JB. Impotence and its medical and psychosocial correlates: results of the Massachusetts Male Aging Study. J Urol 1994;151:54-61
Aytac IA, Araujo AB, Johannes CB, Kleinman KP, McKinlay JB. Socioeconomic factors and incidence of erectile dysfunction: findings of the longitudinal Massachussetts Male Aging Study. Soc Sci Med 2000;51:771-8
Laumann EO, Paik A, Rosen RC. Sexual dysfunction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predictors. JAMA 1999;281:537-44
Lizza EF, Rosen RC.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erectile dysfunction: report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Impotence Research. Int J Impot Res 1999;11:141-3
Park JK. Vasculogenic erectile dysfunction. In: Park KS, Moon DG, Seo JT, Lee WH, Hyun JS, Hong JH, editors. Textbook of andrology. 1st ed. Seoul: Gunja; 2003; 217-24
Shabsigh R, Klein LT, Seidman S, Kaplan SA, Lehrhoff BJ, Ritter JS. Increased incid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men with erectile dysfunction. Urology 1998;52:848-52
Lue TF. Neurogenic erectile dysfunction. Clin Auton Res 2001;11:285-94
Heaton JP, Morales A. Endocrine causes of impotence (nondiabetes). Urol Clin North Am. 2003 Feb;30(1):73-81
Randeva HS, Davison RM, Bouloux PMG. Endocrinology. In: Carson C, Kirby R, Goldstein I, editors. Textbook of Erectile Dysfunction. Oxford: Isis Medical Media;1999;89-104
Moon KH. Drug-induced erectile dysfunction. In: Park KS, Moon DG, Seo JT, Lee WH, Hyun JS, Hong JH, editors. Textbook of andrology. 1st ed. Seoul: Gunja; 2003; 217-24
Min KS. Iatrogenic erectile dysfunction. In: Park KS, Moon DG, Seo JT, Lee WH, Hyun JS, Hong JH, editors. Textbook of andrology. 1st ed. Seoul: Gunja; 2003; 217-24
등록일 : 2007-05-16




서브 하단에 위치한 풀메뉴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