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대비뇨기과 로고

  • 로그인
  • 커뮤니티

전립선염의 약물치료
이름 : 박병대비뇨기과
전립선염의 약물치료 대한전립선학회에서 발췌한글입니다
1형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대부분 대장균 (E. coli)이 전립선에 들어가서 발생하는데, 갑작스런 고열과 배뇨통, 전립선 부위의 통증이 나타납니다. 급성기에는 입원을 해서 치료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때에 주사항생제의 투여가 필요합니다. 이 시기에 전립선 맛사지를 하면 세균성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 우선 균배양 검사와 항생제 감수성 검사가 나오기 전까지는 광범위항생제를 투여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급성기가 지나면 대략 발병 1주일후부터는 먹는 약으로 가능합니다. 이때 만성 전립선염으로 발전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완치될 때까지 약을 먹어야 하며, 적어도 4주 정도는 약을 계속 먹어야 하고, 술을 먹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배변시에 통증이 심하므로 변비를 예방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 야 하며, 해열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제2형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전립선은 특수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몇몇 항생제만이 효과가 있죠. 대표적인 항생제가 박트림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과 퀴놀론계 항생제입니다. 항생제의 투여기간은 8주정도이며, 치료가 잘되지 않을 때는 길어질 수가 있습니다. 직접 전립선에 항생제를 주사하는 것은 먹는 약과 비교해서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항생제 이외의 치료는 만성골반통증 증후군의 치료와 동일합니다.

제3형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 혹은 만성 골반통증 증후군은 치료가 잘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치료가 쉽지 않다는 것이지 절대로 치료가 안 된다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우선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대개 치료기간이 8주이상 필요하고, 치료로는 항생제, 주기적인 전립선 맛사지, 알파차단제, 진통제, 근육 이완제, 물리치료, 전기자극치료, 수 술적 방법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식사요법, 운동, 성생활, 스트레스 감소, 온수좌욕 등이 있습니다. 항생제는 이론상으로 비세균성이면 쓰지 말아야 하지만 어떤 균은 특별한 방법으로 검출해 야 하기 때문에 균이 있어도 비세균성으로 판정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 분자생물 학적인 방법 (균에 대한 PCR)으로 진단한 결과 50%가 넘는 환자들에서 균이 있는 것으로 나와 항생제를 4 - 6주 정도 투여하는 것을 권고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전립선 맛사지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방법으로 전립선 내의 농이 잘 나오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주 2-3회 가 적당하며, 집에서도 배우자의 도움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규칙적인 성생활도 도움을 줍니다. 왜냐하면 사정할 때 나오는 정액의 1/3-1/4이 전립선액이기 때문이죠. 먹는 것으로써 항생제 이외에 과학적으로 효과가 미약하거나 입증되지 못하였지만 건강상품으로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것들로는, 아연, 종합 비타민제제, 꽃가루 추출물, 생약제로 마늘, Echinacea, Goldenseal, Beta-carotene, Selenium, Cranberry juice 등이 있습니다. 근육을 이완시 키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제로는 Valerian, Crampbark, Scullcap 등이 있으며, Couch grass, Watermelon seed, Pipsissewa 등은 이뇨효과가 있다고 하며, Echinacea, Siberian Ginseng 등은 면역효과를 증진하고, Comfrey, Couch grass, Marshmallow 등은 통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생약제들은 과학적인 입증이 미약하고, 일부의 환 자들에서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러한 약제들을 추천하려는 사항이 아니며, 단지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어진 것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로 기술하해 보았습니다. 통증에 대한 치료는 별도로 기술하였습니다.

제4형은 무증상성 염증성 전립선염은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다만 불임이 있는 환자에서는 항생제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등록일 : 2011-03-03




서브 하단에 위치한 풀메뉴 이미지